Search
✒️

우리마을기록단 소개 (since 2016)

마을 기록단을 소개합니다.

마을 기록단의 마을 기록 (원칙)

1. 우리는 마을과 이웃을 기록합니다.
2. (전문가에 의한 기록이 아닌)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한 지속적인 마을 기록활동을 지향합니다.
3. 이를 위한 마을 기록의 과정을 설계하고, 그 기록의 과정과 행위를 소중하게 생각합니다.
→ (주민)참여형, 학습형, 문화로서의 마을 기록 활동

마을 기록단의 활동 방향

1. 마을을 이해하는 도구로서의 기록활동
2. 관계, 소통의 매개로서의 기록활동
3. 문제를 발견하고 드러내는 기록활동

마을 기록단의 활동 분야

1. 마을 기록 활동
2. 마을 기록 방법론 개발 및 교육
3. 마을 기록을 매개로 한 문화예술 활동
활동마을 기록단의 활동 연혁
2016.06.01 / 해방촌도시재생지원센터. 주민제안사업‘해방촌 마을기록단’설립
2017.02.18~2017.03.31 / 해방촌 마을기록단 기록전 ‘SEE SPACE’
2018.06.01~2018.10.31 / 서울문화재단. 서울을 바꾸는 예술 ‘우리마을 탐구생활’해방, 후암동편 제작
2019.05.01~2019.11.31 / 용산구청. 용산 혁신지구 마을형 수업 ‘어린이마을 기록단’운영
2020.06.17 / 서울도시건축센터. 별의별 도시기록가 (온라인 컨텐츠 제작 참여)
2020.09.04 / 한국기록학회. 2020년 하계학술대회_해방촌 마을기록단 사례공유
2020.04.01~2020.12.31 / 서울시. 2020 지역사회 민민협력기반 조성사업(용산구) ‘용산구 시민사회 자원 아카이빙’웹페이지 구축 및 단체 인터뷰 진행
2020.07.01 ~ 2020.12.31 / 청년허브+서울도시재생지원센터. 2020 서울 도시재생 열린공모 ‘누구나마을기록’운영
* 마을기록관련 강의 및 컨설팅 활동 : 강남마을센터/대전 모두의책/쌍문1동 마을자치회/파주기록학교/화성시 마을자치센터 등